병충해 정보
조경관리
농약 영양제 정보
전문가를 위한 조경관리 가이드
/
잔디에 잘 걸리는 병
수목 해충
수목 병해
잔디 병해
수목 관리
수목생리
토양관리
잡초관리
시기별 관리항목
살충제
살균제
제초제
영양제 비료
전문가를 위한 조경관리 가이드
/
잔디에 잘 걸리는 병
Share
병충해 정보
수목 해충
수목 병해
잔디 병해
조경관리
수목 관리
수목생리
토양관리
잡초관리
시기별 관리항목
농약 영양제 정보
살충제
살균제
제초제
영양제 비료
잔디에 잘 걸리는 병
이끼는 무엇인가?
잔디밭에서 흔히 관찰되는 이끼는 곰팡이나 세균이 아닌 선태식물로 습윤하고 통풍이 나쁜 조건에서 빠르게 번식하며, 잔디 생육을 방해하고 미관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.
이끼 발생의 원인
조경지나 잔디밭에서 이끼가 생기는 원인은 대체로 다음과 같습니다.
•
일조 부족
: 그늘이 지는 지역에서 빈발
•
배수 불량
: 지속적인 수분 정체
•
통풍 불량
: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밀폐된 공간
•
토양 산성화
: pH 5.5 이하일 경우 이끼 번식이 용이
•
지속적인 유기물 축적
: 과도한 비료 또는 잔디깎이 찌꺼기 잔존
이끼는 잔디 생육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기보다는, 토양 상태의 불균형과 배수·통풍 문제를 반영하는 ‘지표생물’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.
구리계 살균제와 이끼탄 입제의 비교
•
구리 살균제
: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고 이끼뿐 아니라 곰팡이병에도 효과가 있지만, 약제가 접촉한 부위에만 효과가 있고,
효과 지속 시간이 짧다
는 단점이 있습니다. 또한,
잔디에 고농도로 접촉하면 약해 가능성
이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.
•
이끼탄 입제
: 효과가 느리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지만
잔디에 매우 안전
하고, 침투성과 지속력이 뛰어나
이끼의 재발을 장기적으로 억제
하는 데 적합합니다. 다만, 이끼에만 효과가 있고, 다른 병원균에는 전혀 효과가 없습니다.
이끼 제거의 핵심: 물리적 제거 + 약제 사용
잔디에 생긴 이끼,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
잔디가 봄이 되면 파릇한 새싹이 나와야 되는데,
어떤 부위는 누렇고, 어떤 부위는 잎이 올라오지 않는다
면 봄마름병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봄마름병이란?
•
봄마름병은
가을에 감염
되어
봄에 증상
이 나타나는 잔디 병입니다.
•
이 병의 증상은 봄에 나타나지만 병원균이 전년도 가을에 잔디의 뿌리와 포복경을 통해 침입한 상태이고,
봄에 보이는 증상은 가을에 감염된 ‘결과’일 뿐
입니다.
봄마름병의 증상
•
지름 10~30cm의
원형 또는 불규칙한 모양의 황색 또는 담갈색의 패치
가 군데군데 생깁니다.
•
잔디 새싹이 균일하게 올라오지 않고
, 드문드문 올라옵니다.
•
병든 부위의 뿌리를 뽑아보면 갈변하거나 썩은 모습
이 보이기도 합니다.
•
봄에 증상이 발현된 이후에 더 이상의 확산은 되지 않고, 주변이 서서히 회복되는 것처럼 보이지만, 가을이 되면 결국 재발합니다.
병 발생 메커니즘
•
병원균은 가을 (9~11월)에 침입합니다.
•
겨울 동안
포복경과 뿌리 속에서 잠복
하고 있어 감염 여부를 알 수 없습니다.
봄에 잔디가 누렇게 죽으면
봄마름병
을 의심해보세요